교육

교육목표

1. 물에너지, 공간정보 및 안전 기반기술 관련 산업체 조사에 따른 기후변화 융합 연구방향 설정 및 기술 연계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발굴

2.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부정책개발과 국민우려 대응을 위한 교과목 개편 및 신설 등 교과목 운영을 통해 전문 교과 분야 개발

3. 강의 구성체계성, 세부강의 내용, 실무능력향상 기여도, 프로그램 우수성 등 온라인 폼을 이용한 만족도 조사 실시하여 애로사항 해결

교육과정

기후변화 대응 환경안전 융합 교과과정 운영

기후변화 대응 환경안전 융합교과 운영

  • 기후변화와 대응공학(UOS)
  •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모델링
  • 기후변화와 온열질환 예방관리
  • 환경영향평가
  • 스마트 안전환경 시스템

기후변화 대응 정책방향, 글로벌 프로젝트를 위한 특별교과 운영

글로벌 프로젝트 및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교과과정 운영

  • 글로벌프로젝트와 환경정책Ⅰ
  • 글로벌프로젝트와 환경정책Ⅱ
  • 대기오염 특수문제 연구

국제교류 프로그램 및 MOU를 통한 역량강화

해외 각국의 연구소 대학 등과 국제협력 프로그램 제공

  •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
  • 대만 국립대만대학교
  • 미국 텍사스 A&M 대학 교
  • 미국 템플대학교
  • 중국 상하이이공대학교
  • 환경안전 실습 가능한 회사들과 MOU체결로 실습환경 조성

환경안전 실습 가능한 회사들과 MOU체결로 실습환경 조성

추진방향

신규 교육과정 개발

환경 · 안전 융합 교과목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신규과정으로 개설

  • 기후변화와 물관리
  •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모델링
  • 기후변화와 온열질환 예방관리
  • 환경기상학
  • 물-에너지 연계공학

정책과 문제해결 및 글로벌화를 위한 추진방향

관련정책과 글로벌 프로젝트 등과 관련된 교육강화

각 분야 전문가들의 특강, 세미나 및 포럼 운영으로 전문지식 함양

전문역량을 갖춘 인재 배출

이론 및 소규모 실습으로 훈련된 대학배출인력의 현장 업무 능력/적응성 부족

기후변화 전문역량을 갖춘 인재

  • 최적화된 교과과정
  • 현장실습의 다양화
  • 국제 협력프로그램
기후변화 대응 환경-안전-정책 전문인재양성